진효종 기자
서울시는 도심 야산에 서식하는 야생화된 개들이 먹이 부족 등으로 주택가로 출몰, 시민의 피해가 우려됨에 따라 중앙부처, 자치구, 전문가, 시민과 함께 ‘야생화 된 개’를 근본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서울시는 동물보호단체 카라와 함께 오는 28일 오후 2시 상암동 에스플렉스센터에서 ‘산에 사는 유기견(들개)’ 문제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동물 유기 및 야생화 예방을 위한 2차 시민토론회를 개최한다.
시는 반려동물 천만 시대를 맞았지만 여전히 많은 반려동물이 버려져 이 중 산에서 새끼를 낳고 야생화 된 개가 지속적으로 번식하고 있어 체계적인 관리 방안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날 토론회는 주제 발표로 서울시와 함께 동물유기 및 야생화 예방사업을 진행한 동물보호단체 카라의 김혜란이사가 ‘재개발 지역 동물유기 예방 사업의 효과와 한계’에 대해 보고한다.
이어 서울시 동물보호과 이운오 동물관리팀장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야생화된 유기견의 실태와 대책’을 발표한다.
주제 발표 후 진행하는 지정 토론은 서울대 수의과대 이항 교수를 좌장으로,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와 자치구 관계자와 야생화된 유기견 실태를 취재해 온 언론인이 참여한다.
나백주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기존엔 이미 발생된 유기견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중심으로 고민했다면 이번 토론회는 산과 인접한 재개발 지역 등 전수조사를 통해 야생화된 유기견의 발생 원인을 진단해보고 근본적인 해법을 모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궁극적으로는 사람과 동물의 건강한 공존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