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율리우스력... 로마 달력의 역사

이승민 기자

  • 기사등록 2015-03-16 08:30:15
기사수정

기원전 46년 카이사르가 태양력을 발표할 때 음력과 양력의 차이로 인해 각 달의 날짜 수는 이전의 음력 날짜와 달라야 했습니다. 이전의 달력은 31일인 달이 네 개(3,5,8,10), 29일인 달이 7(1,4,6,7,9,11), 28일인 달이 하나(2)였습니다. 율리우스력에서는 31일인 달 7(1,3,5,7,8,10,12), 30일인 달 4(4,6,9,11), 28일인 달 1(2)로 고정되었습니다. 물론 윤년일 때는 음력 시대의 전통에 따라 12월 말이 아닌 2월에 하루를 추가했습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Julius Caesar)에 의해 태양력이 공식 달력으로 공포되었지만 각 달의 이름은 그대로 사용되었습니다. 하지만 기원전 44년 카이사르가 죽은 후 그에 대한 존경의 뜻에서 그가 태어난 7(Quintilis)July로 바뀝니다.(카이사르가 직접 바꾼 것이 아닙니다!) 그리고 기원전 8년 당시 황제였던 아우구스투스(Augustus)8(Sextilis)을 자신의 이름을 딴 August로 바꿉니다. 그가 황제가 되기까지 중요한 사건들이 8월에 일어난 것을 기념하기 위해서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아우구스투스가 August30일에서 31일로 바꾸었다는 이야기는 잘못된 것입니다. 이미 카이사르에 의해 8월은 처음부터 31일로 정해져 있었습니다.
 
그 후 아우구스투스의 뒤를 이은 테베리우스 황제 때는 원로원 의원들이 9월을 Tiberius로 바꾸자고 제안했지만 황제가 이를 거절했습니다. 황제가 바뀔 때마다 달 이름을 바꾸면 나중에 어떻게 할 것이냐며 오히려 원로원 의원들을 꾸짖었다는 일화는 유명합니다. 반대의 경우도 있었습니다. 악명 높은 네로 황제는 서기 65April을 자기 이름을 딴 Neroneus로 고치고, 5May6JuneClaudius(네로 황제의 양아버지), Germanicus(네로의 외할아버지이자 클라우디우스의 형)로 고치지만 그가 죽자 모두 원래대로 환원되었습니다.
 
로마 최초의 태양력인 율리우스력은 1년을 365.25일로 해서 4년에 한 번씩 윤년을 두는 방식을 택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실제로 지구가 태양을 공전해서 다시 원래의 춘분점까지 오는 데 걸리는 시간(태양년 혹은 회귀년이라고 함)365.2422일입니다. 따라서 율리우스력에서는 매년 0.0078(365.25- 365.2422)의 차이가 생깁니다. 1년에 0.0078(시간으로 나타내면 1114)이 짧은 시간이긴 하지만 128년 정도가 지나면 이 차이가 하루가 됩니다.
 
처음 율리우스력이 공포되었을 때 춘분날은 325일이었습니다. 하지만 서기 325년에는 321일로 옮겨져 있었습니다. 율리우스력의 오차 때문이기도 하지만 초기에 윤년을 잘못 적용한 문제도 있었습니다. 춘분의 날짜가 계속 바뀐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봄의 한가운데에 해당하는 춘분이 1월이나 2월이 될 수도 있으니까요.
 
춘분을 기준으로 부활절을 정하는 기독교인들에게도 춘분날이 변하는 것은 문제였습니다. 당시 로마 황제였던 콘스탄티누스 1세는 기독교를 정식 종교로 인정하고 기독교인들의 화합을
위한 니케아 종교회의를 소집합니다. 이 자리에서 춘분날이 321일로 고정되고, 춘분이 지난 후 첫 번째 보름달이 뜬 다음 일요일이 부활절 날짜로 결정됩니다.
 
세월이 흘러 그레고리우스 13세가 로마 교황으로 있었던 16세기 후반에는 실제 춘분이 311일로 달력과 10일의 차이가 생기게 됩니다. 이 차이를 수정하기 위해 다시 달력 개혁이 이루어지는데 이것이 바로 오늘날 우리가 쓰고 있는 그레고리력입니다.
 
생활천문학 강좌가 3월부터 시작됩니다. 관심 있는 분들은 페이스북에 친구 추천을 해 주시거나 메일 (byeldul@nate.com), 또는 네이버 블러그 http://blog.naver.com/byeldul 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axnews.co.kr/news/view.php?idx=14877
  • 기사등록 2015-03-16 08:30:15
많이 본 기사더보기
  1. 우원식 국회의장, 한덕수 권한대행 대정부질문 불출석에 '강력 경고' 우원식 국회의장이 14일, 한덕수 국무총리 겸 대통령 권한대행이 국회 대정부질문에 불출석한 것에 대해 "국민이 지켜보고 있다. 이런 무책임한 태도가 반복되어서는 안 될 것"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우 의장은 이날 오후 열린 제424회 국회(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오늘 국무총리가 일방적으로 불출석했다. 양 교섭단체의 양해도 없었고 .
  2. 오세훈 시장, '땅꺼짐' 불안 잠재우기 총력… 철도 건설 현장 GPR 탐사 '강도 높은 안전 대책' 가동 오세훈 서울시장이 최근 잇따른 지반 침하 사고와 봄철 인파 밀집으로 인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14일(월) 오후 2시, 서울시청 집무실에서 긴급 안전점검 회의를 주재하고, 관련 부서에 철저한 점검과 신속한 조치, 원인 규명에 총력을 기울여 안전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문했다.이날 회의는 오 시장을 비롯해 행정 1·2&mi...
  3. “경기도 접경지, 버려진 집을 핫플로! 재탄생(Reborn)” 경기도는 접경지역의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을 위해 접경지역 시군과 협력해 2025년도 빈집 정비사업을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도는 사전 수요조사를 통해 7개 시군(고양, 파주, 김포, 양주, 포천, 동두천, 연천)에서 신청한 117개 가운데 정비 기준에 맞는 대상지 32개를 최종 선정해 빈집 정비사업을 진행할 방침이다. 선정된 대상지.
  4. 미아동 345-1 일대, 25층 규모 주거단지로 재탄생… 신속통합기획 확정 서울시는 23일, 수십 년간 개발 사각지대에 머물러 있던 강북구 미아동 345-1 일대에 대한 신속통합기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획을 통해 해당 지역은 북한산 경관을 살린 조망과 녹지축을 기반으로, 25층 내외의 아파트 1,200세대 규모의 주거단지로 탈바꿈할 전망이다.시는 이번 개발이 지역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주변과의 조화...
  5. 박찬대 “장애인 권리 보장, 대선 공약으로 실현할 것”… 정책제안 페스티벌 축사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23일 오전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제21대 대선 장애인 정책제안 페스티벌’에 참석해, 장애인 권리 보장을 위한 정책 추진 의지를 밝혔다. 이날 박 원내대표는 축사를 통해 “대한민국의 국격은 약자를 어떻게 대하는가에서 출발해야 한다”며, “장애인이 체감할 ...
포커스 뉴스더보기
책-퇴진하라
책-보수의종말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