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애피어, 마케터가 인공지능(AI)으로 디지털 소비자 여정을 탐색할 수 있는 방법 소개 - 소비자의 스마트폰 및 태블릿에 대한 빠른 채택과 다중 기기 이용으로 인해 복잡해진 온라인 사용자의 경로 전환

진효종 기자

  • 기사등록 2018-04-10 17:22:20
기사수정

Appier 2017 CrossX report

인공지능(AI) 분야 선도기업 애피어(Appier)가 ‘2017 디지털 소비자 행동 양식 보고서’를 발표했다. 오늘날 다중 기기 사용 환경의 영향으로 너무나 복잡해진 소비자 여정(Consumer Journey)에 대한 해법을 찾고자 하는 마케터에게 로드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보고서는 2017년 아시아 시장 전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애피어 주관 마케팅 캠페인을 통해 수집된 5조건 이상의 자료 분석을 기반으로 작성되었다. 디지털 기기의 온라인 사용 현황을 일일 및 주간 단위로 조사하여 국가, 성별, 연령 및 업종별로 분류했다. 이러한 인공지능 기반의 인사이트를 통해 마케터는 시장에 대한 좀 더 명확한 그림을 그릴 수 있으며 아시아 시장의 복잡해진 소비자 이동 경로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애피어의 최고 영업 책임자인 파브리지오 카루소(Fabrizio Caruso)는 “오늘날 마케터는 자신의 목표 고객에게 다가가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신흥 시장에 속하는 아시아 국가에서 스마트폰 및 태블릿 사용 속도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다중 기기 사용자의 비율도 놀라울 정도로 증가했다. 이러한 수준 높은 소비자는 디지털 소비에 있어 다양한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마케터가 소비자에게 접근하기가 매우 까다로워졌다”며 “애피어는 그 동안 기업 고객들에게 인공지능 기반 플랫폼을 제공해 그들이 목표로 하는 고객에게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해 왔다. 이러한 인사이트와 AI의 도움으로 마케터들은 시대 흐름에 편승할 수 있게 될 것이다”고 말했다. 

‘2017 디지털 소비자 행동양식 보고서’에서 다루는 핵심 주제는 하기와 같다. 

◇다중 기기 사용, 새 기준이 되다 

더 많은 기기를 사용할수록 사용자의 시간은 기기 별로 분산되게 마련이다. 사용자는 각각의 기기 별로 용도를 구분하기 때문이다. 사용자 개개인의 온라인 접근과 전환 방식도 제각각이다. 이를 아시아 지역 국가 수, 성별 및 연령대만큼 다양하게 증가시키면 온라인 접근 및 전환 방식은 그만큼 더 복잡해질 수 있다. 

다중 기기 사용에서 1인당 4개 이상의 기기 사용하는 것이 대세이며, 이는 신흥 시장을 포함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의 새로운 기준으로 자리 잡았다. 다중 기기 사용 순위는 홍콩과 대만이 최상위, 그리고 일본과 태국은 최하위를 차지했다. 

◇마케터, AI로 사각 지대 사용자를 찾아내다 

마케터에게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시장의 사각 지대는 기기별 용도를 완전히 다르게 설정하여 사용하는 소비자다. 지금까지는 이런 사각지대 사용자에게 효과적이고 타깃된 방법으로 접근하는 것이 꽤 어려운 일이었지만 애피어의 AI를 이용하면 이러한 성향의 소비자를 찾아내고 접근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얻을 수 있다. 이런 소비자가 가장 많은 나라는 신흥국가이고 그 중 필리핀, 대만, 호주가 상위를 차지한다. 

◇온라인 접근 및 전환 방식이라는 이름의 성배(聖杯) 

마케터에게 가장 중요한 AI의 역할은 아마도 소비자가 가장 선호하는 온라인 접근 및 전환 방법을 마케터가 예측할 수 있도록 돕는 일이며 애피어의 데이터가 바로 그 역할을 한다. 아시아 지역 소비자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온라인 접근 방식으로는 태블릿이 가장 높은 광고 전환율을 기록했고 스마트폰이 클릭 활동 및 구매전환 부분에서 그 뒤를 이었다. 또한 이 데이터를 통해 PC가 소비자 이동 경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계속해 왔으며 이 지역 전역의 상위 5 개 전환 경로 중 하나인 것을 알 수 있다. 

◇인공지능 기반 크로스 스크린 캠페인, 더 높은 구매 전환을 이끌어 낸다 

평균적으로 인공지능 기반의 크로스 스크린 캠페인이 단일 스크린 캠페인 대비 150% 더 높은 구매 전환율을 이끌어 내는 결과를 보였다. 3개 이상의 기기를 사용하는 소비자는 자신의 소비자 이동 경로에서 단일 스크린 소비자 대비 400% 더 많은 구매 전환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수치를 통해 마케터가 인공지능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점을 뚜렷하게 알 수 있다. 

‘2017 디지털 소비자 행동 보고서’는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하여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axnews.co.kr/news/view.php?idx=1537
  • 기사등록 2018-04-10 17:22:20
많이 본 기사더보기
  1. 권영세, "탄핵은 정치 실패…거대 야당 입법 폭주 책임" 사무처 직원 독려 7일 오전,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가 국민의힘 사무처 직원들과 만남을 갖고 격려와 함께 다가오는 대선에 대한 각오를 다졌다. 권영세 위원장은 "탄핵이라는 비극적 상황에 사무처 직원들의 마음이 무거울 것"이라며 위로를 건넸다. 이어 그는 "이번 사태는 개인의 잘못뿐 아니라 거대 야당의 입법 폭주 등 정치 전체의 실...
  2. 우원식 국회의장, 한덕수 권한대행 대정부질문 불출석에 '강력 경고' 우원식 국회의장이 14일, 한덕수 국무총리 겸 대통령 권한대행이 국회 대정부질문에 불출석한 것에 대해 "국민이 지켜보고 있다. 이런 무책임한 태도가 반복되어서는 안 될 것"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우 의장은 이날 오후 열린 제424회 국회(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오늘 국무총리가 일방적으로 불출석했다. 양 교섭단체의 양해도 없었고 .
  3. 민주당 “한덕수 권한대행, 대통령 몫 헌재 재판관 임명은 위헌”…즉각 철회 촉구 더불어민주당이 8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단행한 헌법재판관 지명에 대해 “명백한 위헌”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윤종군 원내대변인은 이날 서면브리핑을 통해 “한 권한대행은 대통령이 아닌 권한대행일 뿐”이라며, 대통령 몫의 헌재 재판관 임명 권한을 행사한 것은 “헌법 위...
  4. 기아-LG전자, ‘슈필라움’으로 차 안을 오피스·피크닉 공간으로 기아가 LG전자와 손잡고 차량 내부를 오피스와 라운지 등 맞춤형 생활공간으로 구현한 ‘PV5 슈필라움’ 콘셉트카를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선보이며, 차세대 모빌리티 공간 솔루션 시장 공략에 나섰다.기아는 3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LG전자와 함께 차량 기반의 새로운 모빌리티 공간 솔루션 ‘PV5 슈필라...
  5. 국민의힘 “마은혁 헌재 재판관 임명 유감…정치 편향·절차 무시한 인사” 국민의힘이 8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단행한 마은혁 헌법재판관 임명에 대해 “정치적 편향성과 절차적 정당성을 모두 결여한 인사”라며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신동욱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이날 공식 논평을 통해 “마 후보자는 과거 ‘인민노련’ 활동 경력을 갖고 있어 정치적 중립성에 대한 의...
포커스 뉴스더보기
책-퇴진하라
책-보수의종말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