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삼성·LG, 1분기 실적 'TV가 발목 잡았다' - 올 1분기 나란히 TV부문 '적자전환'

이승민 기자

  • 기사등록 2015-04-29 17:50:41
기사수정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올 1분기 TV부문에서 모두 부진한 실적을 거뒀다.

1분기가 계절적 비수기인데다 원재료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LCD 패널값이 상승세를 띠는 동안 TV 가격이 제자리 걸음을 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1분기 CE부문에서 1400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삼성전자 CE부문은 지난해 1분기 1900억원, 직전분기인 지난해 4분기에 1800억원의 이익을 올린 바 있다. 

CE부문은 생활가전과 영상디스플레이(VD사업부)를 담당하는 곳으로, 이 가운데 비디오와 디지털 사업 비중이 가장 크다. 1400억원 손실 대부분이 VD사업부 때문이다.

LG전자는 HE사업부문에서 TV사업을 담당한다. HE사업부문은 매출 4조4367억원에 영업손실 62억원을 기록하며 적자전환됐다. HE사업부는 지난해 1분기에 2161억원, 지난해 4분기에 21억원의 이익을 낸 바 있다.

삼성전자는 "비수기 상황에서 유럽 신흥국의 환율 하락에 따른 수요 감소, 달러 강세에 따른 재료비 증가가 실적 악화의 원인이다"며 "북미 및 아시아 등 환영향이 없는 지역에선 TV 판매량이 증가하고 프리미엄 급 제품 판매가 늘고 있다"고 밝혔다.

LG전자도 "HE사업본부의 매출액은 TV시장의 계절적 비수기 및 러시아, 브라질 등 주요 신흥시장의 환율 영향 등으로 전년 동기, 전 분기 대비 하락했다. 비수기 매출감소와 신흥시장 통화약세 지속 등으로 영업손실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2분기에 대해선 비교적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삼성전자는 "환 영향이 계속돼지만 시장 수요는 전분기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며 "신제품을 본격 출시하고 프리미엄 제품 판매를 통해 수익성을 회복할 것"이라고 밝혔다.

LG전자는 "북미 및 아시아를 중심으로 TV 시장 수요가 증가하고 디지털 사이니지를 포함한 기업간거래(B2B)시장이 지속 확대될 것"이라며 "신모델 마케팅 강화와 울트라HD TV, 올레드 TV 등 프리미엄 제품 판매 비중 확대 등으로 수익성 개선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axnews.co.kr/news/view.php?idx=17113
  • 기사등록 2015-04-29 17:50:41
많이 본 기사더보기
  1. 우원식 국회의장, 한덕수 권한대행 대정부질문 불출석에 '강력 경고' 우원식 국회의장이 14일, 한덕수 국무총리 겸 대통령 권한대행이 국회 대정부질문에 불출석한 것에 대해 "국민이 지켜보고 있다. 이런 무책임한 태도가 반복되어서는 안 될 것"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우 의장은 이날 오후 열린 제424회 국회(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오늘 국무총리가 일방적으로 불출석했다. 양 교섭단체의 양해도 없었고 .
  2. 오세훈 시장, '땅꺼짐' 불안 잠재우기 총력… 철도 건설 현장 GPR 탐사 '강도 높은 안전 대책' 가동 오세훈 서울시장이 최근 잇따른 지반 침하 사고와 봄철 인파 밀집으로 인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14일(월) 오후 2시, 서울시청 집무실에서 긴급 안전점검 회의를 주재하고, 관련 부서에 철저한 점검과 신속한 조치, 원인 규명에 총력을 기울여 안전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문했다.이날 회의는 오 시장을 비롯해 행정 1·2&mi...
  3. 미아동 345-1 일대, 25층 규모 주거단지로 재탄생… 신속통합기획 확정 서울시는 23일, 수십 년간 개발 사각지대에 머물러 있던 강북구 미아동 345-1 일대에 대한 신속통합기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획을 통해 해당 지역은 북한산 경관을 살린 조망과 녹지축을 기반으로, 25층 내외의 아파트 1,200세대 규모의 주거단지로 탈바꿈할 전망이다.시는 이번 개발이 지역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주변과의 조화...
  4. “경기도 접경지, 버려진 집을 핫플로! 재탄생(Reborn)” 경기도는 접경지역의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을 위해 접경지역 시군과 협력해 2025년도 빈집 정비사업을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도는 사전 수요조사를 통해 7개 시군(고양, 파주, 김포, 양주, 포천, 동두천, 연천)에서 신청한 117개 가운데 정비 기준에 맞는 대상지 32개를 최종 선정해 빈집 정비사업을 진행할 방침이다. 선정된 대상지.
  5. 공장 보유 중소·중견기업 중 19.5%만 스마트공장 도입…대부분 기초단계 중소벤처기업부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이 28일 「제1차 스마트제조혁신 실태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중소기업 스마트제조혁신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2023년 7월) 이후 처음 실시된 것으로, 중소 제조 현장의 디지털 전환 현황을 파악했다.실태조사 결과, 공장을 보유한 중소·중견 제조기업 163,273개사 중 스마트공장을...
포커스 뉴스더보기
책-퇴진하라
책-보수의종말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