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지민 기자
여의도 공원 (사진=서울시)
서울시는 매달, 해당 월과 관련된 흥미로운 이야기가 있는 미래유산을 '이달의 미래유산'으로 선정하고 있다. 이번 '1월의 미래유산'에는 1999년 1월 24일 개장한 ‘여의도 공원’, 1976년 1월 '문학사상'에 발표된 하근찬의 단편소설 ‘전차구경’, 신년맞이의 상징인 제야의 종 행사로 대표되는 ‘보신각 타종’이 선정됐다.
여의도 공원은 1999년 1월 도심형 공원으로 조성된 여의도의 랜드마크다. 공원으로 조성되기 이전 1916년부터 1971년까지는 비행장 및 공군기지 등으로 활용됐으며, 1972년에는 5‧16 광장으로 조성돼 대규모 군중집회가 개최되는 장소로 활용되는 등 유구한 역사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손꼽힌다.
1997년부터 추진된 여의도광장의 공원화 사업으로 탄생한 ‘여의도공원’은 도심 속 시민의 쉼터로 기능하고 있다. 공원은 한국전통의 숲, 잔디마당, 문화의 마당, 자연생태의 숲 등 4개의 공간으로 구성돼있으며 계절에 따라 날마다 적게는 2만명에서 많게는 3만 5000명까지의 시민들이 방문하고 있다.
처음 지하철을 마주 한 시민의 감정을 기록한 '전차구경'은 1976년 1월 '문학사상'에 발표된 하근찬의 단편소설이다. 이 소설은 당시 서울의 풍경과 지하철 개통 등 서울의 역사를 묘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래유산으로 선정됐다.
매년 새해의 시작을 알리는 제야의 종으로 가장 유명한 ‘보신각 타종’은 올해를 마무리하고 새해를 맞이하는 의미를 담아 진행하는 대표적인 신년 행사로 1953년부터 매년 서울 시민들과 함께해왔다는 점에서 미래유산으로 선정됐다. 올해 제야의 종 행사는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으로 대체된 바 있다.
‘보신각 타종’은 새해를 비롯한 각종 행사에서 33회 치는 것이 보편적인데, 이는 조선시대에 이른 새벽 사대문을 열며 통행금지 해제를 알리는 ‘파루’에 종을 33번 친 데서 유래한다.
'이달의 미래유산'과 관련된 카드뉴스와 자세한 내용은 서울미래유산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경탁 서울시 문화정책과장은 “1월의 미래유산은 매년 새해의 시작을 알리는 ‘보신각 타종’과 도심 속 푸르른 쉼터인 ‘여의도 공원’ 등 시민들에게 친숙하며 유구한 역사를 보유한 미래유산들로 선정했다”며, “매월 소개되는 '이달의 미래유산'을 통해 우리 주변의 미래유산에 대해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