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김종인과 알키비아데스는 어떻게 닮았나 - 변신과 적응의 리더십 : 알키비아데스 (1)

공희준 편집위원

  • 기사등록 2020-09-01 17:46:34
기사수정
<p>알키비아데스는 서력으로 기원전&nbsp;450년 아테네에서 태어나,&nbsp;역시 서력으로 기원전&nbsp;404년에 페르시아 제국의 통치 아래 있던 소아시아 반도에서 숨을 거두었다.</p><p>&nbsp;</p><p>알키비아데스 가문의 시조는 트로이 전쟁에 참전한 그리스 장수들 중에서 아킬레우스 다음으로 용맹을 떨쳤던 아이아스였다고 한다. 아이아스는 실존 여부가 불분명한 신화 속의 영웅이다. 관건은 집안이 지금 현재 잘나가고 있어야만 전설상의 명장을 족보상의 시조로 주장할 수 있다는 점이다.</p><p><br></p><p><span class="fr-img-caption fr-fic fr-dib" style="width: 650px;"><span class="fr-img-wrap"><img src="/data/cheditor4/2009/26a872f2b7b12aea53ba83841e7b1d64b5fa532d.jpg"><span class="fr-inner">내로라하는 명문가의 후예에, 어디를 가든 리더 자리를 움켜쥐는 장악력. 고대 아테네의 정치가 알키비아데스의 삶은 김종인 위원장의 삶과 상당한 공통분모를 지니고 있다. (이미지출처 : 김종인 페이스북)</span></span></span></p><p>알키비아데스 가문은 아테네에서 내로라하는 명문가였다. 그의 아버지 클레이니아스는 사재를 출연해 건조한 삼단노선을 타고서 아르테미시온 해전에 참가해 맹활약을 펼쳤다. 아르테미시온 해전은 1차 페르시아 전쟁 기간에 그리스 연합군과 페르시아 제국 간에 벌어진 대표적 해전이었다. 한국인들에게도 잘 알려진 살라미스 해전은 2차 페르시아 전쟁의 향방을 가른 바다에서의 싸움이다.</p><p>&nbsp;</p><p>자비로 삼단노선을 진수시킬 수준이면 당연히 굉장한 부자였으리라. 클레이니아스는 단순히 돈만 많은 졸부가 아니었던 터라 국가의 부름을 받을 때면 노블레스 오블리주 정신을 발휘해 조국의 안전과 영광을 위해 기꺼이 발 벗고 나섰고, 결국에는 카이로네이아 전투에서 적군인 보이오이타 사람들에게 목숨을 잃고 말았다.</p><p>&nbsp;</p><p>부모를 잃은 자식을 친척이 맡이 기르는 경우는 흔한 일이다. 문제는 알키비아데스를 책임진 친척이 보통 사람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그는 바로 고대 아테네 민주주주의 상징과도 같은 페리클레스였다. 그런데 알키비아데스의 스승 역할은 물론이고 연인 구실까지 흔쾌히 자청한 사람은 한층 더 유명 인사였다. 다름 아닌 철학자 소크라테스였던 것이다. 이쯤 되면 알키비아데스는 한 가정의 엄친아 차원을 뛰어넘어 한 국가의 기린아였던 셈이다.</p><p>&nbsp;</p><p>그러므로 사료가 빈약하기 마련인 고대사의 범주에 속함에도 불구하고 알키비아데스에 관한 기록이 유달리 풍부한 건 전혀 이상한 노릇이 아니다. 이를테면 그의 유모가 스파르타 출신의 여성이었다는 사실마저 알려졌을 정도다.</p><p>&nbsp;</p><p>알키비아데스는 당대의 손꼽히는 대단한 꽃미남이었다. 그의 잘생긴 외모는 세월의 손때를 좀체 타지 않았으므로 그는 미소년에서 출발해 미청년을 거쳐 미중년으로 곱게 나이를 먹어갔다. 단, 그에게도 한 가지 약점이 있었으니 혀가 짧은 탓에 말할 때 발음이 약간 불분명했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의 혀 짧은 소리는 콤플렉스가 되기보다는, 전성기 시절의 미국 여배우 엘리자베스 테일러의 입술 위에 돋아난 작은 점처럼 알키비아데스의 매력을 오히려 더욱더 빛내주는 요소로 작동해줄 따름이었다.</p><p>&nbsp;</p><p>페르시아 전쟁 참전용사의 아들로 태어나 만년에는 적국의 영토에서 생활한 데서 보이듯 알키비아데스의 인생은 반전과 곡절의 연속으로 점철된 파란만장하고 변화무쌍한 풍운아의 삶 그 자체였다.</p><p>&nbsp;</p><p>플루타르코스는 알키비아데스가 마치&nbsp;21세기 현대 한국정치의 김종인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을 방불하게 할 만큼 어제의 원수를 오늘의 동지로 삼고,&nbsp;현재의 친구를 미래의 적으로 돌리는 현란한 변신과 적응의 행보를 거듭하게 된 결정적 원인은 그가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경쟁심과 승부욕의,&nbsp;호승심과 명예욕의 소유자였던 사실에 있다고 분석하였다.&nbsp;공교롭게도 김종인과 알키비아데스 두 사람은 외세와의 투쟁으로 명성을 드높인 가문의 후광 덕분에 현실 정치권에서의 발언권을 증대할 수 있었다는 공통분모를 지녔다.</p><p>&nbsp;</p><p>남에게 지고는 못 사는 알키비아데스의 성정은 어린 시절부터 유별났다.&nbsp;그는 친구와 레슬링 시합을 하다가 궁지에 몰리자 상대의 팔을 갑자기 깨물었다.&nbsp;황당하고 치사한 반칙작전의 억울한 희생양이 졸지에 애꿎게 돼버린 친구가 알키비아데스를 개라고 욕하자,&nbsp;그는 자기는 사냥감을 물어뜯는 용감한 사자처럼 행동했을 뿐이라는 궤변을 도리어 적반하장 격으로 늘어놓았다.</p><p>&nbsp;</p><p>알키비아데스 어린이는 어른들 못잖은 극단적 행동마저 때로는 서슴지 않았다. 그는 친구들과 공깃돌을 가지고 놀다가 무거운 짐을 가득 실은 마차가 길바닥에 흩어진 공깃돌을 밟고 지나가려고 하자 마차 앞에 느닷없이 벌렁 드러누워 마부를 기겁하게 만들었다. 마차의 통행 때문에 공기놀이가 방해를 받아서는 안 된다는 까닭에서였다.</p><p>&nbsp;</p><p>어린이에서 소년으로 성장한 알키비아데스는 아테네의 음악수업 시간에서 피리를 추방시키는 기염을 토했다. 그가 피리 연주를 싫어한 첫 번째 이유는 피리를 불려면 얼굴에 인상을 써야만 하므로 외모가 흉해질 수 있기 때문이라는 거였다. 두 번째 이유는 피리를 부는 동안에는 사람이 말을 할 수 없기 때문이라는 것이었다.</p><p>&nbsp;</p><p>이유 같지도 않은 이유였지만 주동자인 알키비아데스에게 선동된 학생들의 태도가 워낙 완강하고 비타협적인지라 아테네의 교육 당국자들은 정규 교과과목에서 피리 연습을 아예 폐지해버렸다. 페리클레스의 양아들이자 소크라테스의 애제자인 알키비아데스가 그런 거라면 그런 것이 되는 게 이즈음 아테네의 지배적인 사회 분위기였다.</p><p><br></p>
1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axnews.co.kr/news/view.php?idx=33619
  • 기사등록 2020-09-01 17:46:34
많이 본 기사더보기
  1. 우원식 국회의장, 한덕수 권한대행 대정부질문 불출석에 '강력 경고' 우원식 국회의장이 14일, 한덕수 국무총리 겸 대통령 권한대행이 국회 대정부질문에 불출석한 것에 대해 "국민이 지켜보고 있다. 이런 무책임한 태도가 반복되어서는 안 될 것"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우 의장은 이날 오후 열린 제424회 국회(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오늘 국무총리가 일방적으로 불출석했다. 양 교섭단체의 양해도 없었고 .
  2. 오세훈 시장, '땅꺼짐' 불안 잠재우기 총력… 철도 건설 현장 GPR 탐사 '강도 높은 안전 대책' 가동 오세훈 서울시장이 최근 잇따른 지반 침하 사고와 봄철 인파 밀집으로 인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14일(월) 오후 2시, 서울시청 집무실에서 긴급 안전점검 회의를 주재하고, 관련 부서에 철저한 점검과 신속한 조치, 원인 규명에 총력을 기울여 안전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문했다.이날 회의는 오 시장을 비롯해 행정 1&middot;2&mi...
  3. 미아동 345-1 일대, 25층 규모 주거단지로 재탄생… 신속통합기획 확정 서울시는 23일, 수십 년간 개발 사각지대에 머물러 있던 강북구 미아동 345-1 일대에 대한 신속통합기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획을 통해 해당 지역은 북한산 경관을 살린 조망과 녹지축을 기반으로, 25층 내외의 아파트 1,200세대 규모의 주거단지로 탈바꿈할 전망이다.시는 이번 개발이 지역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주변과의 조화...
  4. “경기도 접경지, 버려진 집을 핫플로! 재탄생(Reborn)” 경기도는 접경지역의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을 위해 접경지역 시군과 협력해 2025년도 빈집 정비사업을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도는 사전 수요조사를 통해 7개 시군(고양, 파주, 김포, 양주, 포천, 동두천, 연천)에서 신청한 117개 가운데 정비 기준에 맞는 대상지 32개를 최종 선정해 빈집 정비사업을 진행할 방침이다. 선정된 대상지.
  5. 공장 보유 중소·중견기업 중 19.5%만 스마트공장 도입…대부분 기초단계 중소벤처기업부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이 28일 「제1차 스마트제조혁신 실태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중소기업 스마트제조혁신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2023년 7월) 이후 처음 실시된 것으로, 중소 제조 현장의 디지털 전환 현황을 파악했다.실태조사 결과, 공장을 보유한 중소·중견 제조기업 163,273개사 중 스마트공장을...
포커스 뉴스더보기
책-퇴진하라
책-보수의종말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